[Talk-ko] 오픈스트리트맵의 place 태그에 관해서 / place tags in OpenStreetMap for Korea
Garam Gim
rowain8 at gmail.com
Sat Dec 29 22:05:34 UTC 2018
아, 제 발언은 전적으로 행정구역을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었습니다.
현재 place을 어떻게 각기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초안을 생성해보았습니다.
https://wiki.openstreetmap.org/wiki/Korea_tagging
여기 및 https://forum.openstreetmap.org/viewtopic.php?pid=731450 그리고 다른 경로 등을
두루 참고하였으나 아직 초안이므로 수준(level) 등이 다소 변경될 수 있는데, 이와 관련해서 의견이 있으시다면 말씀해주시면
감사하겠습니다.
2018년 12월 30일 (일) 오전 12:47, Jaeu Jeong <wodndb at gmail.com>님이 작성:
>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행정구역을 의미상 번역하지 않고 공식적으로는 로마자 표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-do, -si, -gu, -gun을
> 사용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. 개인적으로 OSM의 태그 값은 영국식 영어를 따르는 것 같아서(대표적으로 색상 태그를
> colour라고 사용하는데 미국식 영어는 color입니다.) 되도록 로마자 표기 대신 영어에서 비슷한 의미를 찾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
> 생각합니다. 하지만 영어로 1:1 번역이 어려운 경우 Garam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로마자 표기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> 혹시라도 로마자 표기에 따라 태그 값을 사용하게 된다면 place=do, place=si, place=gu, place=gun과 같이
> 태그 값이 적용되는 건가요?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새로운 태그값이라 만약에 사용하려고 한다면 OSM 위키에 place=do /
> si / gun / gu 태그 값을 제안해야 할 것 같습니다.
>
> 2018년 12월 29일 (토) 오후 8:21, Garam Gim <rowain8 at gmail.com>님이 작성:
>
>> 각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거진 -do, -si, -gu, -gun 등으로 쓰고 있음이 확인됩니다. 그렇다고 한다면 실제
>> 표기를 따르는 것이 맞지 않을까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?
>>
>> 2018년 12월 29일 (토) 오전 2:36, Jaeu Jeong <wodndb at gmail.com>님이 작성:
>>
>>> 한국의 지명과 place 태그 값을 어떻게 매칭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 있으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정부 차원에서 어떻게
>>> 행정구역을 번역하고 있는지 살펴봤습니다.
>>>
>>> 한국법제연구원에서 영어로 번역한 지방자치법[1]에서는 다음과 같이 행정구역을 소개하고 있습니다. 도, 시, 군, 구, 읍, 면,
>>> 동, 리는 사실상 번역이 아닌 로마자 표기법입니다.
>>> - 특별시 : Special City
>>> - 광역시 : Metropolitan City
>>> - 특별자치시 : Metropolitan Autonomous City
>>> - 도 : Do
>>> - 특별자치도 : Special Self-governing Province
>>> - 자치구 : Autonomous Gu (Gu로 통칭)
>>> - 시 / 군 / 구 : Si / Gun / Gu
>>> - 읍 / 면 / 동 : Eup / Myeon / Dong
>>> - 리 : Ri
>>>
>>> 정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에서 운영하는 www.korea.net[2]에서는 도, 시, 군, 구를 한국법제연구원과는 다르게
>>> 번역했습니다.
>>> - 도 : Province
>>> - 시 : City
>>> - 군 : County
>>> - 구 : District
>>> - 시군구보다 높은 계층은 지방자치법 영문 법령과 동일, 시군구보다 낮은 계층은 언급 없음.
>>>
>>>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간한 지명의 국제표준지침서[3]는 법령과 거의 동일하나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.
>>> - 특별자치시 : Special Self-governing City
>>>
>>> 즉, 특별자치시, 도, 시, 군, 구 행정구역 단위에 대한 공식적인 영어 번역 명칭은 통일되어 있지 않습니다. 도, 시, 군,
>>> 구에 대해서는 정부 산하 해외문화홍보원을 따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.
>>>
>>> 특별시, 광역시, 특별자치시, 자치시, 행정시는 모두 지명으로서 시(City)로 분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특별시, 광역시,
>>> 특별자치시는 광역자치단체로서, 도에서 분리된 시입니다. 자치시는 도의 하위 행정구역이자 기초자치단체입니다. 행정시는 특별자치도에서만
>>> 사용되는 자치권이 없는 시입니다.
>>>
>>> 자치구와 (행정)구는 지명으로서 구(District)로 분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자치구는 특별시 및 광역시 소속
>>> 기초자치단체입니다. 행정구는 도 산하 기초자치단체인 시에 소속된 하위 행정구역입니다.
>>>
>>> 읍, 면, 리는 인구와 개발 정도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place=town 태그로 맞춰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. 이건
>>> 아무리 조사해도 답이 안나옵니다.
>>> (e.g. 퇴계원면 퇴계원리는 낮은 수준의 행정구역 단위지만 인구는 3만명이 넘습니다.)
>>>
>>> 이걸 조사하면서 대체로 place 태그가 행정구역 경계 관계의 멤버로 사용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. place 태그가 행정구역을
>>> 표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.
>>>
>>>
>>> I'm investigating how to match between place of South Korea and place
>>> tag value of OSM, but It's too difficult. I searched how government of
>>> South Korea translate administrative unit to English.
>>>
>>> KLRI(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) translated LOCAL AUTONOMY
>>> ACT[1], which is law of South Korea included with administrative unit like
>>> below list.
>>> Actually, some translated administrative units are just romanization of
>>> Korean. (e.g. Do, Si, Gun, Gu, Eup, Myeon, Dong, Ri)
>>>
>>> - 특별시 : Special City
>>> - 광역시 : Metropolitan City
>>> - 특별자치시 : Metropolitan Autonomous City
>>> - 도 : Do
>>> - 특별자치도 : Special Self-governing Province
>>> - 자치구 : Autonomous Gu (Gu로 통칭)
>>> - 시 / 군 / 구 : Si / Gun / Gu
>>> - 읍 / 면 / 동 : Eup / Myeon / Dong
>>> - 리 : Ri
>>>
>>> KOCIS(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) translated Do, Si, Gun, Gu
>>> like below list.[2] These 4 administrative unit is differ to KLRI's
>>> translation.
>>> - 도 : Province
>>> - 시 : City
>>> - 군 : County
>>> - 구 : District
>>> - Upper administrative unit of Si, Gun and Gu are same to KLRI's
>>> translation. There are no explanation of lower administration unit of Si,
>>> Gun, Gu.
>>>
>>> *Toponymic Guidelines for Map and Other Editors For International Use
>>> Republic of Korea*[3], published by NGII(National Geographic
>>> Information Institute) of South Korea, shows almost same of KLRI's
>>> translation. But some translated administrative unit is differ to KLRI's
>>> translation.
>>> - 특별자치시 : Special Self-governing City
>>>
>>> So, Any unified official translation about 특별자치시, 도, 시, 군, and 구 aren't
>>> exist. some administrative units are just romanized. I think it's better to
>>> fallow KOSIS's translation about 도, 시, 군, 구.
>>>
>>> I think that we can classify 특별시(special city), 광역시(metropolitan city),
>>> 특별자치시(special self-governing city), 자치시(autonomous city) and
>>> 행정시(administrative city) to "City" as a place. Special city, metropolitan
>>> city, and special self-governing city are metropolitan self-governing
>>> entity. These administrative units are city separated from 도(province).
>>> Autonomous city is basic self-governing entity. This administrative unit is
>>> city which belongs to 도(province). Administrative city is belongs to
>>> special self-governing province. This administrative unit is city which
>>> hasn't any autonomous power.
>>>
>>> And also I think that we can classify 자치구(Autonomous gu) and (행정)구(gu or
>>> administrative gu) to "District" as a place. Autonomous gu belongs to
>>> special city or metropolitan city which are metropolitan self-governing
>>> entity. Gu, also called administrative gu for distinction of autonomous gu,
>>> is belongs to city which is basic self-governing entity and belongs to
>>> 도(province).
>>>
>>> Maybe we can match 읍(eup), 면(myeon), and 리(ri) to place=town tag,
>>> because they have various population and development each other. I can't
>>> make conclusion about this unit.
>>> (e.g. Population of toegyewon-ri, toegyewon-myeon is over 30,000
>>> although ri is very lower administrative unit)
>>>
>>> I realize that almost of the tag "place" is used for member of
>>> administrative border relation in OpenStreetMap. Is place tag for showing
>>> name of administrative region in OSM?
>>>
>>> P.S. Please understand my poor English. But I try hard to communicate
>>> with non-Korean speaker.
>>>
>>> ● 참고자료 / Reference
>>> [1] 지방자치법, (한국어)
>>> http://law.go.kr/lsSc.do?tabMenuId=tab18&query=%EC%A7%80%EB%B0%A9%EC%9E%90%EC%B9%98%EB%B2%95#undefined
>>> (English)
>>> http://law.go.kr/engLsSc.do?tabMenuId=tab45&query=%EC%A7%80%EB%B0%A9%EC%9E%90%EC%B9%98%EB%B2%95#
>>> [2]
>>> http://www.korea.net/Government/Constitution-and-Government/Local-Governments
>>> [3] http://www.ngii.go.kr/en/download/Toponymic_Guidelines_ROK.pdf
>>>
>>>
>>>
>>> 2018년 12월 29일 (토) 오전 12:08, 고급협동조합 <depth221 at gmail.com>님이 작성:
>>>
>>>> 답장 감사드립니다.
>>>>
>>>> 읽어보고 나니 지역별 구분 없이 기준을 하나만 잡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. 마침 GPIOIPG 님도 텔레그램에서 3번 안으로
>>>> 통합하는 방안을 말씀하시기도 하셨고요.
>>>>
>>>> 다만
>>>> https://wiki.openstreetmap.org/wiki/Tag:boundary%3Dadministrative#10_admin_level_values_for_specific_countries에는
>>>> admin_level 태그에 따른 변별법은 소개되어 있는데, place 태그에 따른 변별법은 소개되어 있지 않더라고요. 물론
>>>> admin_level 태그만 써서 계층을 구별할 수도 있긴 하지만요.
>>>>
>>>> 아니면 일관성을 위해 지금 저 포럼에서 진행 중인 addr 태그 토론을 끝낸 다음에, 거기에 따라가는 것은 어떨까요? (시
>>>> addr:city / 군 addr:county / 구 addr:district → 시 place = city / 군 place =
>>>> county / 구 place = district) 현 상태하고 크게 다르지 않기도 해서 제안해 봅니다.
>>>> ᐧ
>>>>
>>>> 2018년 12월 27일 (목) 오후 6:54, Garam Gim <rowain8 at gmail.com>님이 작성:
>>>>
>>>>> 안녕하세요.
>>>>>
>>>>> 이 내용은 https://www.openstreetmap.org/user/root361/diary/46840 에서 언급하는
>>>>> 것과 궤를 같이 하는 것 같습니다. 또한
>>>>> https://forum.openstreetmap.org/viewtopic.php?id=64892 의 내용과도 연관이 있어
>>>>> 보입니다.
>>>>>
>>>>> 그리고 구분이라면 이미
>>>>> https://wiki.openstreetmap.org/wiki/Tag:boundary%3Dadministrative#10_admin_level_values_for_specific_countries
>>>>> 에서 다루고 있고, 그 각기의 내용들에 대해서는 현재 transifex나 OSM 위키에서
>>>>> https://wiki.openstreetmap.org/wiki/Ko:Tag:place%3Dtown 처럼 번역을 하고 있으니
>>>>>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>>>>>
>>>>> 다만 지역별로 그 구분을 달리 한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반대합니다. 이유는 앞서 언급한 OSM 위키 상의 문서에서 그
>>>>> 구분(level)이 명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별로 그 차이가 별로 크지 않아 오히려 그러한 구분은 혼동을 초래할 것으로 보이기
>>>>> 때문입니다.
>>>>>
>>>>> 감사합니다.
>>>>>
>>>>> 2018년 12월 24일 (월) 오후 11:53, 고급협동조합 <depth221 at gmail.com>님이 작성:
>>>>>
>>>>>> 남한 지역 place 태그를 정리하려 하는데, place 태그와 행정 구역 단위의 관계를 정리해 놓은 문서가 없더라고요.
>>>>>> 그래서 이번에 확실하게 만들어 보려 합니다.
>>>>>>
>>>>>> 일단 대략 현재의 상태는 아래와 같습니다.
>>>>>>
>>>>>> 1. 서울·인천
>>>>>>
>>>>>> - city - 시
>>>>>> - county - X
>>>>>> - town - *구*, *군*, 읍, 면
>>>>>> - village - 동, 리
>>>>>>
>>>>>> 2. 경기·강원·충청·경상(창원 제외)·전라·대전·광주·세종
>>>>>>
>>>>>> - city - 시
>>>>>> - county - 구, 군
>>>>>> - town - 읍, 면
>>>>>> - village - 동, 리
>>>>>>
>>>>>> 3. 부산·울산·대구·창원·제주
>>>>>>
>>>>>> - city - 시
>>>>>> - county - 구, 군
>>>>>> - town - 읍, 면, *동*
>>>>>> - village - 리
>>>>>>
>>>>>> 1, 3번은 특별시/광역시/특별자치시/특별자치도 같이 "도"와 동급으로 취급받는 지역이 대부분이고, 2번은 "도" 아래에
>>>>>> 있는 지역라는 점은 알 수 있습니다(창원 제외).
>>>>>>
>>>>>> 그렇다면 광역시와 도를 따로 나눠서 체계를 2개 정해야 할까요? 아니면 1개로 통합해야 할까요? 또 1, 3번의 경우에는
>>>>>> 1번에 맞춰야 할까요, 아니면 3번에 맞춰야 할까요? 개인적으로는 3번에 맞추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하기는 합니다. 값(value)
>>>>>> 3개에 담는 것보다는 4개에 담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.
>>>>>>
>>>>>> I want to clean up 'place' tags in South Korea, but couldn't find a
>>>>>> documentation for this. So I will create it.
>>>>>>
>>>>>> The present status is below:
>>>>>>
>>>>>> 1. Seoul·Incheon
>>>>>>
>>>>>> - city - Si
>>>>>> - county - X
>>>>>> - town - *Gu*, *Gun*, Eup, Myeon
>>>>>> - village - Dong, Ri
>>>>>>
>>>>>> 2. Gyeonggi·Gangwon·Chungcheong·Geongsang(except
>>>>>> Changwon)·Jeolla·Daejeon·Gwangju·Sejong
>>>>>>
>>>>>> - city - SI
>>>>>> - county - Gu, Gun
>>>>>> - town - Eup, Myeon
>>>>>> - village - Dong, Ri
>>>>>>
>>>>>> 3. Busan·Ulsan·Daegu·Changwon·Jeju
>>>>>>
>>>>>> - city - Si
>>>>>> - county - Gu, Gun
>>>>>> - town - Eup, Myeon, *Dong*
>>>>>> - village - Ri
>>>>>>
>>>>>> I pointed out that Equivalent regions to "Do" are located in 1, 3,
>>>>>> whereas regions under "Do" are in 2(Except Changwon).
>>>>>>
>>>>>> Then, is it good to create two schemas for "Metropolitan city" and
>>>>>> "Do"? Otherwise one schema? And, Should I integrate 1 and 3 into 1? or 3? I
>>>>>> think 3 is good because 3 provides more values than 1.
>>>>>> ᐧ
>>>>>>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>>>>>> Talk-ko mailing list
>>>>>> Talk-ko at openstreetmap.org
>>>>>> https://lists.openstreetmap.org/listinfo/talk-ko
>>>>>>
>>>>>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>>>>> Talk-ko mailing list
>>>>> Talk-ko at openstreetmap.org
>>>>> https://lists.openstreetmap.org/listinfo/talk-ko
>>>>>
>>>>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>>>> Talk-ko mailing list
>>>> Talk-ko at openstreetmap.org
>>>> https://lists.openstreetmap.org/listinfo/talk-ko
>>>>
>>>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>>> Talk-ko mailing list
>>> Talk-ko at openstreetmap.org
>>> https://lists.openstreetmap.org/listinfo/talk-ko
>>>
>>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>> Talk-ko mailing list
>> Talk-ko at openstreetmap.org
>> https://lists.openstreetmap.org/listinfo/talk-ko
>>
>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> Talk-ko mailing list
> Talk-ko at openstreetmap.org
> https://lists.openstreetmap.org/listinfo/talk-ko
>
-------------- next part --------------
HTML 첨부를 없애버렸습니다...
URL: <http://lists.openstreetmap.org/pipermail/talk-ko/attachments/20181230/69d5e512/attachment-0001.html>
More information about the Talk-ko
mailing list